본 연구는 제도적 정합성 관점에서 정부업무평가의 핵심축인 ‘특정평가’의 제도적 실효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특정평가를 논한 학계의 질적 연구 16편을 대상으로 귀납적-탐색적 메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제도의 내적·외적 정합성을 저해하는 제도 운영의 한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내적 정합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평가의 목적과 세부 평가 부문 간의 부조화, ▴평가 부문의 다원화로 인한 통합성 저해 및 과중한 업무 부담, ▴환류 체계의 경직성이 확인되었다. 외적…
공무원이 어느 한 조직에서만 계속 근무하게 된다면, 집단사고, 무사안일, 부처 이기주의 등의 부작용에 함몰되어 협업의 가능성도 낮아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는 데 인사이동의 한 유형인 파견제도는 적지 않은 기여를 할 수 있다. 파견제도의 의의와 유용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관련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공무원 파견제도를 이론적ㆍ실무적으로 검토하여 파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외 공무원 파견제도를 분석한 결과 공무원 파견…
대부분 외부전문가를 통해 수행되는 조직진단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조직진단 전문가들에게 조직진단 과정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크게 조직진단을 실시하게 된 이유, 조직진단에 대한 태도, 조직진단에 대한 의견제시 정도 및 그 의견의 수용 정도, 조직진단의 애로사항, 최종결과물의 조직개편 반영정도 등으로 구성되었다. 설문분석을 통해 외부 전문가에 의한 조직진단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자치단체에 대한 다양한 통계를 생산?공개 하고, 조직진단 과정 중에 반드시 시민단체와 의회의 목소리를 담는 장치를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