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도적 정합성 관점에서 정부업무평가의 핵심축인 ‘특정평가’의 제도적 실효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특정평가를 논한 학계의 질적 연구 16편을 대상으로 귀납적-탐색적 메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제도의 내적·외적 정합성을 저해하는 제도 운영의 한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내적 정합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평가의 목적과 세부 평가 부문 간의 부조화, ▴평가 부문의 다원화로 인한 통합성 저해 및 과중한 업무 부담, ▴환류 체계의 경직성이 확인되었다. 외적…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기초자치단체가 도입한 출산장려금의 정책효과를 분석하였다. 제도도입 이전의 출산율 추세변화와 제도도입 이후의 출산율 추세변화의 차이를 정책효과로 정의하고 분석한 결과 정책효과는 도입 후 3년간은 정책효과가 나타나지 않다가 4년이 지나면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그 수준이 점증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초자치단체별로 출산 장려금의 금액 수준은 매우 다양하였지만 외국의 사례와는 달리 그 액수 자체가 출산율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는 없었다. 기초자치단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