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와 국가 운영에 필수적인 여러 기관들이 정치엘리트들과 대중에게 공공연히 불신의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과연 누가 어떤 기관을 불신하거나 신뢰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규명되지 않았다. 기존 연구들은 정치 신뢰의 결정 요인으로 승자-패자 효과와 당파적 지지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정치 신뢰를 다차원적으로 측정했을 때 이러한 효과가 신뢰의 대상이 되는 기관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는 경험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2025년 6월 제21대 대통령 선거 직후 실시된 전국 조사 자료를 활…
본 연구는 정부성과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정부성과와 정부신뢰 관계를 다룬 기존 연구들이 다수 있지만, 본 연구는 정부성과를 전망적 정부성과와 회고적 정부성과로 구분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전망적 정부성과와 회고적 정부성과 모두 정부신뢰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회고적 정부성과보다는 전망적 정부성과가 좋을수록 정부신뢰 향상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부성과가 좋을수록 정부신뢰가 높아진다는 기…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업무평가제도의 성과를 분석하고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부업무평가제도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 및 미시적 접근을 시도하였고 특히 정부업무평가제도의 틀에서 운영되고 있는 개별평가제도로서의 자체평가 및 재평가, 특정평가, 성과관리, 지방자치단체평가, 그리고 공공기관평가에 대한 분석을 위해 전체 48개 중앙행정기관의 평가담당자 및 평가경험이 있는 공무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