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공무원의 자발적 기여행동인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의 인과 경로를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역할모호성과 공직가치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행정환경 변화에 주목하여 조직 내 심리적·인지적 요인들이 어떻게 이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일반직 …
본 연구는 Q방법론의 핵심 절차인 의미통합체(concourse)와 Q표본(Q-set) 구축 과정에 대한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Q방법론은 인간의 주관성 탐색에 유용한 방법론이지만, 의미통합체와 Q표본 구축 과정이 연구자 개인의 판단에 의존하거나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특히 국내 연구는 이러한 방법론적 논의가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의미통합체와 Q표본 구축 과정을 체계적 수집, 구조화 및 분류, 체계적 추출, 사전 검토 및…
본 연구는 병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구성원의 LMX활동이 조직갈등과 조직침묵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한 연구이다. 이직의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공무원 조직 또는 사회복지사 조직에서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병원조직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를 위한 독립변수로 LMX활동을 설정하였고, 매개변수로 조직갈등과 조직침묵을, 종속변수로 이직의도를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EM)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LMX활동이 활발해 질수록 조직 …
본 연구는 조직 이론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던 조직몰입에 대하여 임파워먼트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도시공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448부의 설문 자료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자료는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선행연구들의 결…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키는 심리적·조직적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들 간의 영향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이중매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토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직무자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확인되었다. 반면, 조직공정성은 혁신행동에 부(-)의 직접…
이 연구는 공무원들이 적극행정에 대해 가지는 기본 입장과 실제로 적극행정을 수행하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탐색하였다. 먼저 법령들에 규정되어 있는 적극행정의 개념을 살펴보고,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적극행정에 영향을 미칠 만한 변수들을 선별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경기도청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3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8개의 변수를 추출하였고, 두 종속변수를 대상으로 순서형 로짓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적극행정에 대한 기본 입장에는 직무만족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동시에 이러한 인과관계가 시설유형(생활시설 및 이용시설)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2021년 충청남도에 위치한 아동복지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종사자가 인식하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
이 연구는 디지털 대전환이라는 흐름 속에 플랫폼 거버넌스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자 수행되었다. 플랫폼 거버넌스는 정부의 혁신 중 하나로 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혁신행동이 중요함에 따라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에서 구축하는 자료인 ?공직생활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5개 연도의 데이터를 활용해 단년도 회귀분석과 합동 OLS를 통해 혁신행동 영향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무만족…
본 연구는 가족친화정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와 이에 있어서 일과 삶의 균형과 직무만족의 매개적 관계 및 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로는 2022년 1월 5일부터 2022년 1월 14일까지 국내 소재의 기업체에서 근무하는 만 19세 이상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내용적으로는 가족친화정책, 일과 삶의 균형, 직무만족 그리고 삶의 질 간의 구조적이고 경로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증적 내용을 살펴보기 …
본 연구는 National Survey of College Graduates(NSCG) 데이터를 이용하여 직업훈련에 참여하는 재직자의 특성과 직업훈련이 전공-직무 일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직업훈련에 참여하는 재직자의 다양한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젊은 재직자일수록 직업훈련 참여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교육수준과 전공-직무 일치성이 높은 재직자의 직업훈련 참여 빈도가 높았다. 둘째, 직업훈련이 전공-직무 일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업훈련 참여자는 미참여자에 비해 전공-직무 일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