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직 이론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던 조직몰입에 대하여 임파워먼트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도시공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448부의 설문 자료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자료는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선행연구들의 결…
본 연구는 가족친화정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와 이에 있어서 일과 삶의 균형과 직무만족의 매개적 관계 및 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로는 2022년 1월 5일부터 2022년 1월 14일까지 국내 소재의 기업체에서 근무하는 만 19세 이상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내용적으로는 가족친화정책, 일과 삶의 균형, 직무만족 그리고 삶의 질 간의 구조적이고 경로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증적 내용을 살펴보기 …
본 연구는 공무원의 행복도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전통적인 행복도 연구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후생복지에 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업무수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직무와 관련된 요인들을 포함하여 공무원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와 같은 직무요인이 복지요인과 행복 간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수에서는 여성인 경우, 기혼인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행복도가 높다. 둘째, 복지요인에서는 좋은 근무환경, 높은 급여수준 및 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