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공무원의 자발적 기여행동인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의 인과 경로를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역할모호성과 공직가치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행정환경 변화에 주목하여 조직 내 심리적·인지적 요인들이 어떻게 이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일반직 …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증진시키는 심리적·조직적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들 간의 영향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이 이중매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토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직무자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확인되었다. 반면, 조직공정성은 혁신행동에 부(-)의 직접…
본 연구에서는 병원조직내 개인간 관계갈등과 직무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설정하고 가설적 모형을 형성한 다음 병원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개인간 관계갈등과 직무갈등 그리고 그것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한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갈등 및 직무갈등에 대한 요인들의 직접적인 영향력들을 검증한 결과, 직종이기주의, 역할모호성, 왜곡된 의사전달이 관계갈등에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