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착한가격업소의 제도적·재정적 지원 규모가 참여 사업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착한가격업소는 소상인의 자발적 참여를 기반으로 운영되지만,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사업 활성화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착한가격업소 참여 촉진 요인을 규명하고,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사업 활성화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전국 기초자치단체 착한가격업소 사업주이며, 순서형 프로빗(Ordered Probit) 모형을 활용하여 만족도 영향…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ㆍ경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사회적 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궁극적으로 한국사회의 실업문제 해결과 양극화 해소에 일조할 것이라는 점과 사회적 기업에 있어서 실제 활동하는 현장인 각 지방단위 사회적 기업과 지방정부 간의 협력 거버넌스가 효과적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협력 거버넌스의 개념과 함께 협력의 균형을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인 탐구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삼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증제도를 현실화하고 기존 법령을 중심으로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
우리나라는 2001년부터 공학교육인증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공학교육인증이 실제 어떤 효과를 내고 있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는 아직 적절하게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효과를 평가하고 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인증된 공학교육 프로그램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자료 분석에는 AMOS를 통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설검정결과는 正(+)의 상관관계로서 모든 가설이 채택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모형의 적합…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 육성정책과 관련해 다른 국가와 구별되는 가장 특이한 사항은 정부에 의한 사회적기업의 인증제도이다. 이러한 인증제도는 중앙 정부차원에서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사회적기업의 인증과 개별 광역자치단체가 추진하고 있는 지역별 예비 사회적기업의 인증제도로 대별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가 전국적인 수준에서 주관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인증제도와 광역자치단체 중에서 대표적으로 서울특별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서울형 사회적기업의 인증제도에 관해 비교적인 관점에서 분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