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은 국가 경제와 지역 활성화의 핵심 인프라이지만, 산업구조 변화로 지역 일자리 창출 효과는 감소한 반면, 소음·대기오염 등 부정적 외부효과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용·편익의 불균형은 주민 수용성 확보를 중요한 과제로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항만 인근 지역 주민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항만 수용성 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항만 수용성을 결정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지역산업 육성 지원 요구(β=.515)’로 나타났다. 이는 주민들이 추상적 국가발전 …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이라는 시대적 요구 속에서, 수소전기차 및 수소충전소의 보급 확대는 중요한 정책 과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주민수용성은 정책 성공의 핵심 변수이다. 이 연구는 서울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수소에너지 및 관련 인프라에 대한 인식과 수용성, 안전성 인식의 차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일원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정, 카이제곱 검정 등 통계 분석 결과, 연령, 최종학력, 평소 안전에 대한 관심 수준이 인식과 수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낮고 …
이상고온현상과 더불어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적인 탈탄소정책 흐름이 발생함에 따라 제주 또한 독자적으로 에너지 전환 계획을 추진해오고 있으며 그중 가장 중심에너지원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 해상풍력이다. 그러나 해상풍력 발전정책 추진에 있어 주민수용성 확보 부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의 해상풍력 발전 정책에서 제주도 주민의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수용성 확보를 위한 정책 제언을 구상하는데 있다. 종속변수 제주 주민의 ‘정책수용성’에 영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