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은 국가 경제와 지역 활성화의 핵심 인프라이지만, 산업구조 변화로 지역 일자리 창출 효과는 감소한 반면, 소음·대기오염 등 부정적 외부효과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용·편익의 불균형은 주민 수용성 확보를 중요한 과제로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항만 인근 지역 주민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항만 수용성 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항만 수용성을 결정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지역산업 육성 지원 요구(β=.515)’로 나타났다. 이는 주민들이 추상적 국가발전 …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의 거버넌스 형성요인과 성과요인을 파악하여 관계를 규명하고 관계 간의 중간지원조직 역할을 수행하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복지의 거버넌스 형성요인, 거버넌스 성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역할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했다. 그리고 지역사회복지의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요인, 협력적 거버넌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역할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
보육교사에게 심리적 안녕감은 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이론적 차원에서 규명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무엇보다 보육교사 연구에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심리적 안녕감 변인이 이론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임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개념적으로 체계화된 Ryff(1989)의 심리적 안녕감을 기초로 독립변인, 매개변인, 종속변인 등의 다양한 위치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한 후 가장 적실성 있는 이론적 위치를 확인하고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