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젊은 공무원들의 업무 소외 유발과 조용한 사직까지 예측하는 과잉 자격 인식의 통합 모형을 분석함으로써 조용한 사직에 관한 현재 지식에 기여한다. 우리는 또한 이들 변인 사이에서 자기 지향 완벽주의와 지각된 외부 평판의 조절 효과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382명의 공무원 자료를 SPSS 26.0과 SPSS PROCESS 매크로를 사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업무 소외가 과잉 자격 인식과 조용한 사직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 지향 완벽주의와 지각된 외부 평판을 조절변인으로 도입했을…
본 연구는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인특성, 관계적특성, 직무특성 차원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간 지각된 과잉자격의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지각된 과잉자격의 영향요인으로는 개인특성의 나르시시즘과 자기개발노력, 관계적특성의 사회적응집력, 직무특성의 자율성이 지각된 과잉자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지각된 과잉자격의 결과를 중심으로 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