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게시판 최신게시물 15건
GIAPA
The Gyeong-I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경인행정학회에서 제공하는 논문 및 각종 자료입니다
학회자료 Library
저널명
한국정책연구(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창간연도
2002년 2월
ISSN
(Print)1598-7817 , (Online)2713-6744
등재사항
KCI등재(2019.01 ~ 현재)
수록권호
제25권 3호
발행일
2025.09
수록논문
14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사회과학
발행기간
2002.02 ~ 2025.09
발행주기
연 4회(계간)
총 권호 수
77 volumes
총 논문 수
752 articles

초록

본 연구는 공공갈등에서 이익갈등과 가치갈등이 각각 어떠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갈등 유형별 차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의 공공갈등 데이터베이스(1990~2022)를 활용하여 총 1,261건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이익 대 이익’ 갈등이 전체의 68%, ‘이익 대 가치’ 갈등은 22%, ‘가치 대 가치’ 갈등은 10%를 차지하였다. 사회갈등비용은 참여자 수, 갈등 지속일수, 최저시급, 법정근로시간을 조합하여 산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 결과 갈등 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F = 6.185, p < .05). 특히 ‘가치 대 가치’ 갈등은 평균 16.37조 원으로, 다른 유형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비용을 유발하였다. 이는 가치갈등이 정체성, 도덕성, 사회적 신뢰 등 비경제적 요소와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고비용·고복잡성의 특성을 지닌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갈등 유형별 차별적 거버넌스 설계, 갈등유형 코드화 및 비용예측체계 도입 등 정책적 대응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how different types of public conflicts—namely interest-based and value-based conflicts—affect social costs,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ir distinctions. Using a dataset of 1,261 public conflict cases (1990–2022) from the Dankook University Conflict Resolution Center, the study categorizes conflicts into interest-interest (68%), interest-value (22%), and value-value (10%) types. Social conflict costs were calculated based on number of participants, duration, minimum wage, and legal working hours. A one-way ANOVA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conflict types (F = 6.185, p < .05), with value-value conflicts generating the highest average cost—KRW 1.637 trillion—far exceeding the othe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value conflicts, often tied to identity, morality, and social trust, tend to be high-cost and highly complex.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differentiated governance structures, institutional codification of conflict types, and predictive budgeting mechanisms tailored to conflict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Ⅴ. 정책적 함의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36)

  1. 가상준. (2010). 한국공공분쟁 특성에 대한 경험적 분석: 공공분쟁의 강도와 기간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편황와 민주주의 연구소, 「평화연구」, 18(1): 27-51
  2. 가상준·신은종·임재형·김학린. (2007). 한국의 공공분쟁 1990-2006: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공공분쟁데이터베이스. 「분쟁해결연구」, 5(2): 137-167.
  3. 가상준·유성진. (2023). 공공갈등의 이념화 현상에 대한 연구: 당파성에 따른 갈등인식,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사회과학연구」, 31(2): 8-36
  4. 김강민·김학린·전형준·임재형. (2018). 「갈등관리와 협상」. 용인: 노스보스.
  5. 김강민·임재형. (2023). 가치갈등의 구조와 갈등의 강도: 경기도 공공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3(2): 127-153.
  6. 김병국. (2011). 공공갈등의 사회적 비용과 관리방안. 한국행정학보, 45(3), 1-28.
  7. 김은주. (2020). 숙의 민주주의와 공공갈등의 해결. 분쟁해결연구, 18(3), 5–32.
  8. 김재신. (2011). 일반화된 타자, 정부,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공공갈등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5(2): 1-16
  9. 김강민·김재일. (2015). 지방정부의 공공갈등 쟁점 확대에 따른사회・경제적 비용항목탐색과 적용, 「한국지방행정학회」, 12(1): 259-291.
  10. 김주경. (2021). “시민단체의 갈등역량이 정부의 갈등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부학회, [한국행정논집] 33(1): 33~61
  11. 김주경·고대유. (2023). 갈등유형이 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정치이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분쟁해결연구센터, 「분쟁해결연구」, 21(1), : 5-34
  12. 김학린·전형준·임재형. (2018). 「갈등관리와 협상」. 용인: 노스보스.
  13. 노시평·박희서·박영미. (2001). 「정책학」, 학현사
  14. 대통령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5). 「공공갈등관리의 이론과 기법 상·하」, 논형
  15. 류지성. (2007). 「정책학개론」, 대영문화사
  16. 박영신. (2018). 「공공갈등의 관리와 해결」. 대영문화사.
  17. 박영신. (2018). 「현대 사회와 갈등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 p. 102.
  18. 박천일(2003). 갈등관리체계의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9. 백승기(2015).「정책학 원론」, 서울: 대영문화사
  20. 임영제·박연호·이종호. (2015). 「행정학개론」, 박영사
  21. 임재형. (2023). 숙의적 거버넌스를 통한 가치갈등 해소방안 연구., 거버넌스리뷰, 10(1), 143-160.
  22. 임재형. (2023). 정책갈등의 사회적 비용과 예방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행정논총, 61(1), 99-124.
  23. 임재형. (2019). 한국의 시민단체가 공공갈등에 미치는 영향: 기간과 강도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분쟁해결연구], 17(1): 75-105.
  24. 정정길·최종원·이시원·정준금·정광호. (2011). 「정책학 원론」. 서울: 대영문화사
  25. 정주진. (2010). 「갈등해결과 한국사회」. 아르케
  26. 최정원. (2017). 가치갈등과 정책결정의 정당성: 담론적 접근. 한국정책학회보, 26(2), 115-134.
  27. 최정원. (2017). 『정책갈등의 이해와 분석』. 서울: 대영문화사
  28. 한영주. (2007). 서울시 갈등사례실태분석과 갈등관리방안, 서울연구원 연구보고서
  29. 단국대학교분쟁해결연구센터. (2024). 집회 및 시위로 표출된 주요사회적 이슈의 유형 및 비용. 국무조정실 연구용역보고서
  30.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통계자료.(2020). http://www.ducdr.org.
  31. Pondy, L. R. (1967). Organizational Conflict: Concepts and Model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2(2), 296-320.
  32. Kingdon, J. W. (1984). Agendas,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Boston: Little, Brown.
  33. Bartlett, R. (2001). Conflict and values in public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34. Deutsch, M. (1973). The resolution of conflict: Constructive and destructive processes. Yale University Press.
  35. Stone, D. (2002). Policy paradox: The art of political decision making (Revised edition). W.W. Norton & Company.
  36. Susskind, L., & Cruikshank, J. (1987). Breaking the impasse: Consensual approaches to resolving public disputes. Basic Books.

참고문헌 더보기
한국정책연구 (752 articles / 77 volumes) 2025년도(논문 수 36) 제25권 3호(논문 수 14) KCI등재 ISSN 1598-7817 (Print) , 2713-6744 (Online)

학회지 논문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