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봉사동기와 조직시민행동 : 역할모호성과 공직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The Mediating Effects of Role Ambiguity and Public Service Values
- 창간연도
- 2002년 2월
- ISSN
- (Print)1598-7817 , (Online)2713-6744
- 등재사항
- KCI등재(2019.01 ~ 현재)
- 수록권호
- 제25권 3호
- 발행일
- 2025.09
- 수록논문
- 14 articles
- 유형
- 학술저널
- 주제
- 사회과학
- 발행기간
- 2002.02 ~ 2025.09
- 발행주기
- 연 4회(계간)
- 총 권호 수
- 77 volumes
- 총 논문 수
- 752 articles
키워드
초록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공무원의 자발적 기여행동인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의 인과 경로를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역할모호성과 공직가치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행정환경 변화에 주목하여 조직 내 심리적·인지적 요인들이 어떻게 이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6,444명의 응답 데이터를 바탕으로 PLS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봉사동기는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역할모호성을 낮추고 공직가치를 강화하는 이중매개 경로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봉사동기→ 역할모호성→ 공직가치→ 조직시민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효과를 보이며, 현실적 조직 환경에서 공무원의 내적 동기가 어떻게 확장되고 제약되는지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시민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동기부여를 넘어서, 명확한 역할설정과 공직가치 내면화를 위한 조직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행정조직의 인사·조직관리 전략에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한다.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among public official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ole ambiguity and public service value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dire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OCB, this research adopts an integrated perspective to explore how intern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factors mediate this relationship, especially in the rapidly changing administrative environment of the post-COVID era. Using data from the 2023 Public Service Lif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study analyzed responses from 6,444 public servants employed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was employ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PSM not only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OCB, but also exert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through a dual mediation pathway—reducing role ambiguity and enhancing the internalization of public service values. The mediated pathway from PSM → Role Ambiguity → Public Service Values → OCB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viding valuable theoretical insight into how internal motivation is shaped and constrained by organizational conditions.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organizational conditions that clarify role expectations and strengthen value alignment, in order to effectively translate public servants’ motivation into proactive and voluntary behavior. Practical implications are offered for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public sector.
목차
Ⅰ. 서론Ⅱ. 이론적 논의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72)
- 강동철. (2017). 지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직무만족 및 조직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부산광역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43(1): 169-195.
- 강지선·임효숙. (2020). 공공봉사동기가 공무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및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2(3): 503-534.
- 강지선·임효숙. (2020). 공공봉사동기가 공무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및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2(3): 503-534.
- 강지선·하진홍. (2019). 조직몰입, 공공봉사동기, 혁신지향 문화가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관리자와 비관리자 간 커뮤니케이션의 조절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8(2): 225-259.
- 강환선. (2021). 직무요구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 고대유·김강민. (2021). 공공봉사동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직만족도를 통한 자기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32(2): 169-196.
- 고명철. (2024). 조직사회자본, 직장생활의 질, 조직시민행동 간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재직기간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8(1): 49-75.
- 김가람. (2021). 유형별 조직문화, 공공봉사동기, 조직몰입,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김민영·김화연·오현규·박성민. (2015). 공직봉사동기와 기업가 정신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행정논집, 27(4): 1135-1164.
- 김정인. (2014). 지방세무직 공무원의 조직시민행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동기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8(2): 35-64.
- 김진아·문광민. (2020). 공공봉사동기(PSM)와 업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9(3): 23-51.
- 김진희. (2013). 변혁적 리더십이 TMX와 조직몰입을 통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6(8): 2043-2067.
- 김태호·노종호. (2010). 공공봉사동기가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48(3): 143-168.
- 김판석,연원정. (2019). 정부와 공무원노동조합의 단체교섭 사례 연구: 정부교섭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8(2): 115-145.
- 문국경·임재영. (2019).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시민행동.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9(4): 151-175.
- 박문상·박계홍. (2012). 부사관의 역할 정체성, 모호성, 갈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15(2): 39-72.
- 박순애·이혜연. (2017). 공공봉사동기와 성과중심 보상제도에 대한 인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공직봉사동기의 구축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조직학회보, 14(2): 97-128.
- 박영국. (2009).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21(2): 539-566.
- 박이레·문명재. (2021). 공공봉사동기가 이직의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요구-자원모형의 조절효과.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32(3): 59-93.
- 박정인·박민근. (2024). 공무원의 이직의도와 공공봉사동기: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GRI연구논총, 26(2): 27-47.
- 박주원·조윤직. (2016). 공공봉사동기가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요인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22(2): 195-233.
- 박지혜·이순하. (2019).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무형식 학습과 조직시민행동의 구조적관계: 공공기관과 사기업의 비교.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1(3): 21-51.
- 박찬영·이지은·이수영. (2015).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광역-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행정논집, 27(1): 215-241.
- 박형수·문국경·배석환·김정서. (2023). 공공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다수준(multi-level)분석: 세대 간 차이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16(4): 67-100.
- 서은혜·이효주·박성민. (2018). 대한민국 공무원의 동기유형과 조직시민행동,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Theory)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9(1): 145-185.
- 서인덕·이원형. (2006). 조직문화, 리더십 그리고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리더신뢰 및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13(4): 71-106.
- 신나윤·박순애·이영범. (2023). 공무원의 이직 의도를 촉발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부심과 조직시민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2(1): 65-90.
- 양수진. (2022). COVID-19 전후 직무환경요인이 요양병원의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 유수동·전성훈. (2021). 공공봉사동기, 조직 내 사회자본과 직무만족: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0(2): 1-25.
- 유정환. (2024). 리더십 유형이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성 연구: 세대의 조절효과와 공공봉사동기 및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이규용·송정수. (2010).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HRD연구, 12(4): 73-93.
- 이다운·정동혁·장모세·문국경. (2022). 공직가치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목표명확성과 직무명확성의 조절효과 검증. 현대사회와 행정, 32(2): 243-270.
- 이중길·조윤직. (2016). 소방조직 내 조직시민행동의 결정요인으로서 조직커뮤니케이션의 영향: 신뢰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0(4): 243-272.
- 이지혜·이희재. (2022). 공공봉사동기(PSM)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자율성, 성과피드백, 참여·협력, 팀워크 지향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이현정·박통희. (2011). 감성지능과 조직시민행동:감성역량의 관점에서 한국 중앙정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조직학회보, 8(2): 67-110.
- 이혜윤. (2017).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종사자들의 공공봉사동기(PSM)와 직무동기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기관유형에 따른 조절효과와 공정성인식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1(2): 349-388.
- 이희태. (2014). 지방정부의 성과지향적 인사관리에 따른 공무원의 역할특성 및 대인관계 요인이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18(3): 457-480.
- 전설희·오정록. (2025). 공공봉사동기와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적극행정 매개효과 분석. 한국조직학회보, 22(1): 43-91.
- 전소희·강혜진. (2023).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 공직만족도 그리고 이직의도: 관계적 매커니즘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2(1): 91-119.
- 정수원·왕태규. (2023). 공직가치가 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7(4): 1-27.
- 정수원. (2023). 공직가치(PSV)가 공직자의 직무만족(JS)과 조직몰입(OC)에 미치는 영향 -공공봉사동기(PSM)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정연우·박성민. (2019). 공직가치 제고를 위한 행동주의적 분석연구: 공공봉사동기의 통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8(4): 171-198.
- 조우봉·김종범·김진동. (2024).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OCB)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38(1): 329-350.
- 조혜진·문국경. (2024). 조직차원의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6(4): 787-818.
- 최규현·임준형. (2020). 공무원의 동기유형과 직무성과: 역할모호성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17(3): 1-31.
- 최규현. (2018). 공무원의 동기부여가 직무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업무자율성과 역할모호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 최낙범·이수영. (2016).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특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증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5(1): 169-215.
- 최무현·조창현. (2013).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와 직무태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7(1): 343-366.
- 최예나. (2022). 입법부 공무원들의 공공서비스동기 및 공직가치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6(2): 49-78.
- 한봉주. (2009). 조직문화, 리더십 그리고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공공기관 선진화 추진대상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행정논총, 47(3): 165-199.
- 한지영·박지원·최경미. (2023).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자율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역량개발학습연구, 18(2): 31-56.
- 허성욱. (2017). 전범위 리더십, 조직문화 그리고 조직시민행동.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1(4): 151-177.
- Bright, L. (2007). Does person-organization fi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 job performance of public employees?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27(4): 361–379.
- Crewson, P. E. (1997). Public-service motivation: Building empirical evidence of incidence and effect.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7(4): 499-518.
- Homberg, F., McCarthy, D., & Tabvuma, V. (2015).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75(5): 711–722.
- Kenneth, K. (2003). Integrating Values into Public Service: The Values Statement as Centerpiece. Publis Administration Review. 63(6): 711-719.
- Kim, S. (2009). Testing the structur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Korea: A research not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9: 839-851.
- Molina, A. D. (2015). The virtues of administration: Values and the practice of public service. Administrative Theory & Praxis, 37(1): 49-69.
- Organ, D. W. (1988).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ider syndrome.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 Organ, D. W. (1990). The motivational basis of organizational citizen ship behavior. In B. M. Staw, & L. L. Cummings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pp. 43-72). Greenwich, CT: JAI Press.
- Park, S. M., & Rainey, H. G. (2008). Leadership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U.S. federal agencies. International Public Management Journal. 11(1): 109-142
- Perry, J. L., & Wise, L. R. (1990). The motivational bases of public servi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0(3): 367-373.
- Podsakoff, P. M., Ahearne, M., & MacKenzie, S. B. (1997).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ork group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2(2), 262–270.
- Podsakoff, P. M., MacKenzie, S. B., Paine, J. B., & Bachrach, D. G. (2000).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 critical review of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literatur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nagement, 26(3): 513-563.
- Rainey, H. G., & Steinbauer, P. (1999). Galloping elephants: Developing elements of a theory of effective government organization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9(1): 1-32.
- Rainey, H. G. (2014). Understanding and managing public organizations. 5th eds. Jossey-Bass.
- Smith, C. A., Organ, D. W., & Near, J. P. (1983).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s nature and anteced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8(4): 653–663.
- Tang, H., An, S., Zhang, L., Xiao, Y., & Li, X. (2024).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 Meta-Analysis Us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Behavioral Sciences, 14(10): 861.
- Vigoda-Gadot, E. R. A. N., & Meiri, S. (2008). New public management values and person‐organization fit: a socio-psychological approach and empirical examination among public sector personnel. Public Administration, 86(1): 111-131.
- Vigoda-Gadot, E., Schwabsky, N., Shoham, A., & Ruvio, A. (2005). Public sector innovation for the managerial and the post‑managerial era: Promises and realities in a globalizing public administration. International Public Management Journal, 8(1): 57–81.
- Volle, K. M. (2014). Public Service Motivation, Role Ambigu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Municipal Police Officers. Graduate School Research Paper No. 545,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
- Wrzesniewski, A., & Dutton, J. E. (2001).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2): 179–201.
참고문헌 더보기
- 이전논문행정가치의 실천화에 관한 논의 Discussion on the practice of administrative value
- 다음논문없음 (현재 논문이 "한국정책연구 제25권 3호"의 마지막 논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