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동차세 개편 방안
Automobile Tax Reform Plan in Korea
저자
조임곤(경기대학교)
Cho, Im Gon
Cho, Im Gon
- 창간연도
- 2002년 2월
- ISSN
- (Print)1598-7817 , (Online)2713-6744
- 등재사항
- KCI등재(2019.01 ~ 현재)
- 수록권호
- 제25권 3호
- 발행일
- 2025.09
- 수록논문
- 14 articles
- 유형
- 학술저널
- 주제
- 사회과학
- 발행기간
- 2002.02 ~ 2025.09
- 발행주기
- 연 4회(계간)
- 총 권호 수
- 77 volumes
- 총 논문 수
- 752 articles
키워드
초록
최근 자동차세 개편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많은 경우 차량 보유에 따른 소유세 체계 개편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자동차세 전반에 대한 종합적 검토는 부족한 실정이다.이 연구에서는 최근 자동차세 개편과 관련된 친환경성 등 현대적 이슈에 집중하기보다는, 현행 지방세법상 모든 자동차를 대상으로 자동차 과세 원칙의 관점에서 자동차세 개편의 지역별 형평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해외 사례에서는 영업용 차량의 도로 이용률이 높다는 점에 기초한 과세, 화물차의 도로 훼손 기여도에 따른 과세, 자동차세의 재산세적 성격 강화, 주행거리 기반 과세 등이 적용되고 있다.
1992년과 비교하여 2025년 현재까지 많은 시간이 경과하였고, 그동안 다양한 여건이 변화했기 때문에, 자동차세 체계에서도 납세자 간 형평성—즉 영업용과 비영업용, 승용차와 화물차, 버스 등 차종 간의 형평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영업용 차량에 대해서도 과도한 면세가 아닌, 주행거리와 도로 이용에 따른 교통혼잡, 사고, 환경 부담 등 사회적 비용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자동차세 개편에서는 조세 원칙에 부합하도록 물가상승률을 반영할 수 있는 체계로 재구조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동차세의 합리적 개편 방향은 부담능력 원칙, 편익 원칙, 중립성 원칙을 충족해야 한다.
While discussions on automobile tax reform have been active recently, many have focused on restructuring the ownership tax system based on vehicle ownership, leaving a lack of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overall automobile tax system.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gional equity of automobile tax re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rrent automobile taxation principles under local tax law, targeting all vehicles, rather than focusing on contemporary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friendliness related to the recent automobile tax reform.
Overseas examples include taxation based on the high road usage of commercial vehicles, taxation based on the contribution of trucks to road damage, strengthening the property tax nature of automobile tax, and mileage-based taxation.
Because much time has passed since 1992 and various circumstances have changed, the automobile tax system must also consider equity among taxpayers—namely, equity between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vehicles, passenger cars and trucks, buses, etc. For commercial vehicles, it's necessary to reflect the social costs associated with mileage and road use, such as traffic congestion, accidents, and environmental burden, rather than excessive tax exemptions.
Reforming Korea's automobile tax system requires restructuring the system to reflect inflation in line with tax principles.
A reasonable approach to automobile tax reform should adhere to the Ability to Pay Principle, the Benefit Principle, and the Neutrality Principle.
목차
Ⅰ. 머리말Ⅱ. 선행 연구 고찰 및 자동차세 과세 원칙
Ⅲ. 과세 원칙에 비추어 본 자동차세 개편 방안
Ⅳ. 자동차세 개편의 지역별 효과
Ⅴ. 결론
참고문헌 (50)
- 강병주・손희준・이삼주. (1990). 「자동차세의 합리적 조정 및 징수율 제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고재학(2010), 서울특별시 자치구 간 재정 불균형에 관한 연구 : 세목별 자치구 간 세입 격차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0(1): 97~117
- 김남욱. (2022). 자율주행차에 대한 지방세 과세방안 - 취득세와 자동차세를 중심으로 -. 「지방자치법연구」, 22(2): 59~88
- 김두형. (2011). 환경친화적인 자동차세제 도입방안. 「조세법연구」, 17(2): 207~249.
- 김승래・임병인. (2012). 친환경 자동차세제 개편의 소득재분배효과 분석. 「한국경제연구」, 제30(1): 121~150
- 김원진・이삼주. (1993). 자동차세의 성격규명을 통한 발전방향. 「지방행정연구」, 8(1): 81~99
- 김정훈. (1996). 「자동차세의 합리적 조정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김필헌. (2016). 「자동차 관련 지방세제의 합리적 개편방향」. 한국지방세연구원 기본과제 2016-07호.
- 김필헌. (2021). 차량가액 기준 자동차세 과세표준 산정방식 도입효과 분석. 「지방세논집」, 8(1): 63~88.
- 김홍권・심석무. (2010). 우리나라 자동차세의 개선방안. 「세무학연구」, 27(4): 227∼260.
- 박성준. (2023). 기초자치단체 사회복지 예산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공간패널회귀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연구」, 23(1): 109~129.
- 서정섭・라소영. (2025). 로봇, 기계장치인가 노동가치인가: 로봇에 대한 과세제도로써 취득세 부과의 탐색. 「한국정책연구」, 25(1): 63~86.
- 손희준. (1995). 지방자치시대의 자동차세제 개편논리와 실제. 「지방행정연구」, 10(1): 27~51
- 오경수. (2024). 전기 및 수소전기 자동차 보급확대에 따른 자동차세 개편방안 연구. 「지방세논집」, 11(2): 33~48
- 오희환. (1995). 「지방재정확충을 위한 자동차세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윤상호・김필헌・허원제・오경수. (2019). 「대기환경 오염비용을 고려한 소유분 자동차세 개선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정책과제 2019-29호.
- 이상돈. (1989). 환경보호와 자원관리의 측면에서 본 자동차세 체계. 「환경보전」, 11(14): 2~4.
- 이상만. (2021). 조세평등주의에 부합하는 자동차세제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2050 탄소중립시행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자동차 소유분 세제개편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38(4): 225~252
- 이재훈・양정선. (2008). 연비를 고려한 자동차세 개편방안. 「재정학연구」, 1(4): 227~248
- 장기용. (2022). 자동차관련 세제의 환경친화적 세제로의 개편방안. 「경영컨설팅연구」, 8(1): 1~22.
- 장재민, 이유봉, 조도형. (2022). 비연소 배출특성을 활용한 탄소중립시대의 자동차세 개선방안 연구: 자동차 보유세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40(3): 305~318.
- 조임곤, 「전기자동차에 대한 합리적 과세방안 연구, 한국지방세연구원 정책과제 2013-33호, 2014.
- 조임곤・원종학. (2023). 소유분 자동차세 개편 방안. 「지방세논집」, 10(2): 1~18
- 최재성. (2019).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따른 교통 분야 세입감소 대응방안. 「국토정책 Brief」, 734: 1~8
- 최현우・정민경・장현우・김동구. (2023). 한국의 배기량별 평균 CO2 배출량을 고려한 자동차세의 적정 세율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32(4): 217~238
- 황상규・김규옥. (2010).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자동차세제 개편방안」. 한국교통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 구미문헌
- Atkinson, A. B. & Stiglitz, J. E. (1976). The Design of Tax Structure: Direct versus Indirect Taxation. Journal of Public Economics, 6(1–2), 1976, 55–75,
- European Commission. (2007).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Council and the European Parliament: Results of the Review of the Community Strategy to Reduce CO₂ Emissions from Passenger Cars and Light-Commercial Vehicles. COM(2007) 19 final, 7 February 2007. Brussels: European Commission. https://eur-lex.europa.eu/legal-content/EN/TXT/?uri=CELEX:52007DC0019.
- HM Treasury. (2024). Autumn Statement 2024. London: His Majesty's Treasury, November 2024. https://assets.publishing.service.gov.uk/media/ 672b98bb40f7da695c921c61/Autumn_Budget_2024_Print.pdf
- Hiort af Ornäs Leijon, Lena. (2015). Tax Policy, Economic Efficiency and the Principle of Neutrality from a Legal and Economic Perspective.” Uppsala Faculty of Law Working Paper Series, no. 2015:2. Uppsala University, 2015. https://uu.diva-portal.org/smash/get/diva2:1189926/FULLTEXT01.pdf
- Musgrave, Richard A., and Peggy B. Musgrave. (1989). Public Finance in Theory and Practice. 5th ed. New York: McGraw-Hill.
- Orego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3). Mileage-based User Fees – Vehicle Miles Traveled (VMT). Salem, OR: ODOT, June 2013.
- Seriah, Boluwatife. (2024). A Literature Review of Three Applicable Theories to Taxation; the Ability to Pay Theory, the Benefit Theory and the Neutrality Theory (April 19, 2024). https://ssrn.com/abstract=4800892 or http://dx.doi.org/10.2139/ssrn.4800892
- 기타
- http://www.shinmoongo.net/149255 (방문일자 2025년 7월 25일)
- https://ustr.gov/archive/assets/Document_Library/Fact_Sheets/2008/asset_upload_file500_15206.pdf (방문일자 2025년 8월 10일)
- https://www.revenue.alabama.gov/tax-types/motor-vehicle-registration-fees/ (방문일자 2025년 8월 10일)
- https://www.concordnh.gov/FAQ.aspx?QID=151 (방문일자 2025년 8월 10일)
- https://www.driversnote.com/blog/deduct-vehicle-registration-fees (방문일자 2025년 8월 10일)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5808 (방문일자 2025년 8월 10일)
- https://www.jayu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049 (방문일자 2025년 8월 10일)
-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4/09/15/PRIGQLJ4VBCW5HE6U64AHQMPD4/ (방문일자 2025년 8월 10일)
- https://www.gov.uk/guidance/vehicle-tax-for-electric-and-low-emissions-vehicles (방문일자 2025년 7월 25일)
- https://www.roadusagechargeutah.org/ (방문일자 2025년 8월 10일)
- https://www.dmv.virginia.gov/vehicles/taxes-fees/highway-use (방문일자 2025년 8월 10일)
- https://tmacs.kotsa.or.kr/web/TG/TG200/TG2200/Tg1700_02.jsp?mid=S3080# (방문일자 2025년 7월 25일)
- https://dmv.ny.gov/forms/mv202.pdf (방문일자 2025년 7월 25일)
- https://dmv.ny.gov/forms/mv202c.pdf (방문일자 2025년 7월 25일)
- https://www.dmv.ca.gov/portal/uploads/2024/10/REG-4008-R5-2015-ASB-WWW.pdf (방문일자 2025년 8월 10일)
참고문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