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게시판 최신게시물 15건
GIAPA
The Gyeong-I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경인행정학회에서 제공하는 논문 및 각종 자료입니다
학회자료 Library
저널명
한국정책연구(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창간연도
2002년 2월
ISSN
(Print)1598-7817 , (Online)2713-6744
등재사항
KCI등재(2019.01 ~ 현재)
수록권호
제25권 3호
발행일
2025.09
수록논문
14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사회과학
발행기간
2002.02 ~ 2025.09
발행주기
연 4회(계간)
총 권호 수
77 volumes
총 논문 수
752 articles

초록

본 연구는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른 정책체계 변화에 주목해 인천시가 수립한 국가유산 시행계획 문서를 중심으로 인천시의 국가유산 정책 흐름을 분석하였다.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해 문서에 내재 된 주요 키워드 및 주제 변화 양상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1기(2012년~2016년)에는 세계유산 및 강화 지역 중심의 보존 정책을 2기(2017년~2021년)에는 무형유산 전승 강화와 고려 역사·남북 교류·세계유산 정책 병행을 마지막으로 3기에는 지역 기반 보존·활용과 시민 참여 확대라는 단계적 변화를 거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정책 문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시계열적 인천시 정책 전략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중앙정부 계획이나 실제 정책 집행 결과와의 연계 분석 보완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 trajectory of Incheon Metropolitan City's national heritage governance, focusing on its official implementation plans in light of the systemic changes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this research identifies key embedded keywords and traces the thematic evolution within these policy documents over time.
The analysis reveals a distinct three-phase transition. Phase 1 (2012–2016) was characterized by preservation-focused policies centered on World Heritage and the Ganghwa region. Phase 2 (2017–2021) saw a shift towards strengthening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heritage while concurrently promoting initiatives related to Goryeo Dynasty history, inter-Korean exchanges, and World Heritage. Finally, the current Phase 3 emphasizes region-based strategies for both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coupled with a significant expansion of citizen particip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quantitatively analyzes a local government's policy documents to empirically illuminate the diachronic shifts in Incheon’s strategic priorities. Future research is warranted to complement this analysis by examining its linkages with national-level plans and actual policy implementation outcom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43)

  1. 강경환. (2010). 문화재 정책의 전략과 과제. 「국토」. 32-43.
  2. 강보배. (2023).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유산 관리 역량강화 연구: 기초자치단체 관리 역량의 영향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3. 강용수. (2025). 주성분 분석과 K-Means Clustering을 활용한 지방분권 시대 지역별 국가유산 행정 유형화 및 시사점 - 226개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한국전통문화연구」. 35:93-126.
  4. 강용수·전인석. (2024). 체계적인 향토유산 보존·관리 및 활용을 위한 향토유산 조례 연구: 지방자치단체향토유산 조례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38(3):229-252.
  5. 김남정. (2021). 「인지적 과제분석(Cognitive Task Analysis) 데이터에 대한 전통적 방식과 텍스트마이닝 및 토픽모델링 방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6. 김샛별·채정현. (2019).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의 ‘생활문화’ 핵심개념 단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7):871-903.
  7. 김은정 외. (2016). 2016 경기교육 기본계획 정합성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보고서.
  8. 남기명. (2017). 인천시 도시가치자원 현황과 자원화 방안. 인천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9. 노태섭. (2006). 「지방자치단체 문화재관리 역량 제고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10. 박지원·강태원. (2024). 정책정합성 관점에서 지역 주도 혁신생태계 구축 방안 연구: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4(3):1-28.
  11. 박소현 외. (2024). 지역산업 경로창출의 시공간적 특성 탐색 방법론: 인천 바이오의약산업을 사례로. 「도시연구」. 25:309-342.
  12. 서순복·권오철. (2008). 지방자치단체 문화재행정의 진단 및 대안 모색. 「지방정부연구」. 12(2):275-296.
  13. 서형준. (2021). 플랫폼 정부의 온라인 시민참여: ‘인천은소통e가득’ 코로나19 관련 청원 토픽모델링을 중심으로. 「도시연구」. 20:39-78.
  14. 선혁석 외. (2017). 텍스트마이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상청 기상연감 자료분석. 「응용통계연구」. 30(4):603-613.
  15. 양선희. (2018). 「한국인의 기업시민성 개념의 특징과 경제 교육적 함의: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언론매체 및 기업신년사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6. 오현정·이찬구. (2015).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의 정책도구 정합성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4(4):61-90.
  17. 우창빈·장효진. (2014). 개발을 위한 정책정합성의 개념과 측정: 라오스의 교육부문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3(1):109-140.
  18. 유수동·박현욱. (2024). 뉴스 토픽 모델링을 통해 살펴본 사회적 이슈 탐색: Covid-19 팬데믹 이후 사회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4(3):115-143.
  19. 이동범 외. (2013). 문화재 통합관리체계 구축 방안 연구. 국가유산청 연구보고서.
  20. 이영하·신상준. (2020). 지방분권에 대한 문화재담당 공무원의 인식 탐색: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33-55.
  21. 이재삼. (2015). 현행 문화재보호법상 문화재 행정체계의 발전 방안. 「법이론실무연구」. 3(1):7-39.
  22. 임승빈. (2001). 문화재 보존관리 체계 개선방안. 한국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23. 전인석. (2021). 「문화재 정책체계의 분권화 조건 연구: 근거이론분석법(GTA)의 적용」. 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정상철 외. (2018). 문화재의 새로운 방향과 의제. 국가유산청 연구보고서.
  25. 정정길. (2002). 행정과 정책연구를 위한 시차적 접근방법: 제도의 정합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6(1):1-19.
  26. 조은설. (2018). 우리나라 클러스터 육성과 지역산업 정책의 정책적 정합성 평가. 「한국정책연구」. 18(2):127-160.
  27. 조일형·채경진. (2023). 미래유산의 서비스 품질(HISTOQUAL)이 충성도와 보존가치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경의선 숲길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3(1):29-48.
  28. 국가유산청. (2012). 「문화재 보존·관리·활용 5개년 기본계획 2012~2016」.
  29. 국가유산청. (2017). 「문화재 보존·관리·활용 기본계획 2017~2021」.
  30. 국가유산청. (2022). 「문화재 보존·관리·활용 기본계획 2022~2026」.
  31. 국가유산청. (2024). 「국가유산 행정 가이드 북」.
  32. 국가유산청. (2024). 「60여 년 가의 문화재 정책 한계 극복하고, 국제기준과 시대 흐름 반영한 ‘국가유산’ 체계로 전환」. 보도자료.
  33. 인천시. (2012, 2013, 2016-2025). 「인천시 문화재 보존·관리 및 활용 시행계획」
  34. 인천시. (2022). 「인천시-시의회,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 찾아 증축 필요 공감 – 이행숙 부시장, 시의회와 함께 민생현장 찾는 ‘시민행복 소통의 날’ 운영 -」. 보도자료.
  35. 「경인일보」. (2024). 유네스코 세계유산 신청 기로 ‘인첫갯벌’ ‘추가 규제 우려’ 강화·옹진군 설득 관건.
  36. 「경향신문」. (2021). 인천 50년 이상 된 근대건축물 등록문화재 추진.
  37. 「인천투데이」. (2023). 인천시, 근대문화유산 보존·활용 방안 수립한다.
  38. OECD. (2001). Innovation Clusters: Driver’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Paris: OECD.
  39.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2011). Presentation and adoption od the World Heritage strategy for capacity building.
  40. Zan et al. (2015). Managing Cultural Heritage: An International Research Perspective.
  41. 국가법령정보센터(https://law.go.kr/)
  42. 국가유산청(https://www.khs.go.kr/)
  43. 인천시(https://www.incheon.go.kr/)

참고문헌 더보기
한국정책연구 (752 articles / 77 volumes) 2025년도(논문 수 36) 제25권 3호(논문 수 14) KCI등재 ISSN 1598-7817 (Print) , 2713-6744 (Online)

학회지 논문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