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업무평가의 제도적 정합성에 관한 서설적 연구: 특정평가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중심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the Institutional Coherence of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Focusing on the Targeted Evaluation
저자
김진선, 윤수재
Kim Jin Seon, Yoon Su Jae
Kim Jin Seon, Yoon Su Jae
- 창간연도
- 2002년 2월
- ISSN
- (Print)1598-7817 , (Online)2713-6744
- 등재사항
- KCI등재(2019.01 ~ 현재)
- 수록권호
- 제25권 3호
- 발행일
- 2025.09
- 수록논문
- 14 articles
- 유형
- 학술저널
- 주제
- 사회과학
- 발행기간
- 2002.02 ~ 2025.09
- 발행주기
- 연 4회(계간)
- 총 권호 수
- 77 volumes
- 총 논문 수
- 752 articles
키워드
초록
본 연구는 제도적 정합성 관점에서 정부업무평가의 핵심축인 ‘특정평가’의 제도적 실효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특정평가를 논한 학계의 질적 연구 16편을 대상으로 귀납적-탐색적 메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제도의 내적·외적 정합성을 저해하는 제도 운영의 한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내적 정합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평가의 목적과 세부 평가 부문 간의 부조화, ▴평가 부문의 다원화로 인한 통합성 저해 및 과중한 업무 부담, ▴환류 체계의 경직성이 확인되었다. 외적 정합성 측면에서는 ▴제도 간 평가 대상의 중복, ▴행정부 임기와 평가 주기의 불일치 등이 거시적 측면에서 제도의 효과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특정평가의 거시적 구조와 미시적 운영을 통합적으로 조망하고 향후 제도의 근본적 재설계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undermine the institutional effectiveness of the Targeted Evaluation—a core pillar of Korea’s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through the lens of institutional coherence. To this end, an inductive and exploratory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16 qualitative studies that examined the Targeted Evaluation, with the objective of identifying limitations in the system’s operation that weaken both its internal and external coherence.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main factors undermining internal coherence are: (a) the misalignment between the overarching objectives of evaluation and the sub-evaluation domains, (b) the erosion of integration and excessive administrative burden caused by the diversification of evaluation domains, and (c) the rigidity of the feedback mechanisms. In terms of external coherence, (a) duplication of evaluation targets across different systems and (b) the mismatch between the presidential term and the evaluation cycle were identified as macro-level factors diminishing the system’s effectiveness. Building on these findings, the study concludes by offering policy implications for a fundamental redesign of the Targeted Evaluation, presenting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links its macro-level structure with its micro-level operation.
목차
Ⅰ. 서론Ⅱ. 이론적 배경: 제도적 정합성과 정부업무평가
III. 분석방법론
IV. 분석결과
V.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67)
- 강영철. (2010). 관리수단으로서 정부업무 평가제도의 역할 및 한계: 정부업무평가제도 내 특정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9(3), 209-229.
- 공병천. (2003). 정부기관평가제도의 탐색적 연구: 중앙행정기관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2(4), 147-174.
- 국무조정실. (2025). 2025년도 정부업무평가 시행계획(안). 2025.4.1.
- 권향원·김성민·한수정. (2017). 숙의 거버넌스의 저해요인 연구: 한국의 사례들의 메타분석.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4(2): 189-216.
- 김권식. (2022). 규제샌드박스 제도 시행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과 정부의 새로운 역할. 「중소기업포커스」, 2022(15), 1-15.
- 김기만·권영상. (2024). 자체평가가 정부업무평가에 미치는 영향분석: 패널순서형 프로빗 모형 이용. 「한국행정연구」, 33(1), 143-167.
- 김용훈·윤지웅. (2008). 과학기술행정체제의 변화와 정합성. 「행정논총」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6(4), 175-199.
- 김윤권. (2005). 제도변화의 통합적 접근: 역사적 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4(1), 299-327.
- 김재근·공동성. (2015). 과제 특성에 따른 성과평가제도의 성과 (인식) 차이 분석: 정부업무평가제도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를 토대로. 「한국지방자치연구」, 17(3), 27-54.
- 김주환. (2006). 한국과 일본의 중앙정부 정책평가제도 비교연구: 정책평가관련 법 및 제도를 중심으로: 정책평가관련 법 및 제도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6(4), 57-88.
- 김주환. (2013). 정부업무평가제도의 운영변화에 관한 연구: 관련법 및 제도운영을 중심으로: 관련법 및 제도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3(3), 45-67.
- 김준현. (2020). 정부 기관 자체평가 행태에 관한 조직학습이론 분석: 중앙행정기관 자체평가 개선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9(4), 97-125.
- 김진선·김종호. (2021). 지방정부의 재난관리'네트워크 역량'연구: 경주, 포항 지진사례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31(1), 1-38.
- 김호석 외. (2017). 「국가 정책· 계획 지속가능성 평가체계 개발」. 수시연구보고서, 2017, 1-78.
- 김흥회. (2015). 협동 거버넌스에서의 성공 및 실패 요인 탐구. 「지방정부연구」, 18(4): 343-367.
- 나장함. (2008). 질적 메타분석에 대한 고찰. 「교육과정연구」, 26(4): 229-252.
- 나태준. (2015). 자체평가제도의 중복성에 관한 연구: 환경부 주요정책평가와 재정사업자율평가의 비교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25(3), 1-26.
- 남궁근. (2011).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 관리와 평가: 2021년 평가의 과제. 한국행정연구원 제1차 정부업무평가 포럼 발제문.
- 노유진. (2005). 우리나라 정부부처에 있어서 정책평가결과의 저활용요인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3(4), 245-275.
- 노유진·남승하. (2025). 직무자원과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5(2): 101-30.
- 라영재. (2020). 정책평가의 이론기반평가: 평가원칙과 적용의 실제: 정부업무평가와 공공기관 경영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0(3), 43-78.
- 문태훈·김희석. (2022). 기후위기 대응 환경정책과 환경거버넌스 정합성 제고를 위한 발전방향. 「한국행정연구」, 31(1), 27-57.
- 서영빈·이윤식. (2020). 정부업무평가기본법 하에서 성과관리를 위한 자체평가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0(4), 29-62.
- 송건섭. (2007). 정부업무평가제도하의 자체평가역량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1(1), 57-79.
- 송건섭·이윤식·제갈돈. (2006). 중앙행정기관의 자체평가 내실화를 위한 평가역량강화 방안.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6(2), 1-27.
- 오영균. (2011). 산업기술연구회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제도적 정합성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1(2): 351-376.
- 우창빈·장효진. (2014). 개발을 위한 정책정합성의 개념과 측정: 라오스의 교육부문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3(1), 109-140.
- 유자영·권혁주. (2020). 한국 일· 가정 양립 지원정책의 확대와 정책 정합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54(3), 253-280.
- 윤수재. (2019). 「정부 정책효과 측정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 윤수재·김지수. (2017).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통합적 정부업무평가제도 분석: 평가중복에 대한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6(4), 57-82.
- 윤수재・임동진(2009). 「중앙행정기관 성과관리시스템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 이광희. (2007). 평가방법론 측면에서 본 정부업무평가. 「행정논총」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5(4), 253-273.
- 이광희. (2015). 「평가의 타당성 제고를 위한 성과측정 매뉴얼 개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377.
- 이광희·이석민. (2014). 정부업무평가제도의 성과정보 활용, 활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그리고 제도신뢰 요인 연구: 특정평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8(3), 205-226.
- 이광희·홍재환·강영철. (2007). 「통합국정평가제도의 효율적 운영방안-특정평가 개선방안, 정성적 지표 평가방안, 고객만족도 조사모델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정책세미나, 2007, 1-166.
- 이근주. (2007). 정책평가제도 간 비교를 통한 [정부업무평가기본법] 의 개선 방안 모색. 「국정관리연구」, 2(1), 79-101.
- 이상미·장정연. (2022). 지방자치단체 재정사업평가제도의 메타평가 연구. 「한국정책연구」, 22(4): 91-121.
- 이윤식. (2018). 「정책평가론」. 대영문화사.
- 이윤식·서영빈. (2015). 평가의 타당성 측면에서 본 정부업무평가제도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5(3), 171-197.
- 이정철·이정욱. (2022). 성과측정과 성과역설에 관한 연구-중앙행정기관 자체평가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31(1), 317-350.
- 이환성. (2014). 「국정과제평가제도 개선방안」. 한국행정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 임동진·강영철. (2008). 「정부업무평가결과 환류의 정착방안연구」. 한국행정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08, 1-240.
- 장지호. (2009). 중소기업정책의 제도정합성 고찰: 시차이론을 활용한 담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3(3), 191-214.
- 전상환. (2015). 제도 정합성 관점에서의 주민참여예산제도 평가: 도시, 농촌, 도· 농복합 기초지자체 적용을 중심으로: 도시, 농촌, 도· 농복합 기초지자체 적용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9(1), 229-255.
- 전영준·엄태호. (2019). 지방재정 신속집행제도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외적 정합성 분석: 경기지역 31 개 기초 자치단체에 대한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3(4), 1-32.
- 정의룡. (2024). 정부업무평가의 환류 효용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10(3), 541-550.
- 정정길. (2002). 행정과 정책연구를 위한 시차적 (時差的) 접근방법-제도의 정합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6(1), 1-20.
- 정정길·정준금. (2003). 정책과 제도변화의 시차적 요소. 「행정논총」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1(2), 177-202.
- 최현철·김영단·윤치호. (2023).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지표개선을 위한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23(1): 229-258.
- 허만형·김주환·이석환. (2008). 정부업무평가 기본방향과 제도운영에 대한 실태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2(1), 1-18.
- 허만형·라휘문·차용진. (2010). 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정부업무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10(3), 479-504.
- 황혜신. (2013). 「해외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한국 정부업무평가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정책세미나, 2013, 1-426.
- 황혜신·조문석. (2016). 「정부업무평가제도의 운영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 Ansell, C., & Gash, A. (2008).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8(4): 543-571.
- Barroso, J., Gollop, C. J., Sandelowski, M., Meynell, J., Pearce, P. F., & Collins, L. J. (2003). The challenges of searching for and retrieving qualitative studie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5(2): 153-178.
- Behn, R. D. (2003). Why measure performance? Different purposes require different measur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3(5), 586-606.
- Conway, M. M., & Feigert, F. B. (1972). Political Analysis: An Introduction. Boston: Allym and Bacon, Inc.
- Deutsch, K. (1963). The Nerves of Goverment : Models of Political Communication and Control, New York. Free Press.
- Eckstein, H. (1997). Congruence theory explained.
- Howlett, M., & Rayner, J. (2007). Design principles for policy mixes: Cohesion and coherence in ‘new governance arrangements’. Policy and society, 26(4), 1-18.
- Levitt, H. M. (2018). How to conduct a qualitative meta-analysis: Tailoring methods to enhance methodological integrity. Psychotherapy Research, 28(3): 367-378.
- Lipsey, R. G., & Lancaster, K. (1956). The general theory of second best. The review of economic studies, 24(1), 11-32.
- May, P. J., Sapotichne, J., & Workman, S. (2006). Policy coherence and policy domains. Policy Studies Journal, 34(3), 381-403.
- Orren, K., & Skowronek, S. (2004). The search for American political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andelowski, M., Docherty, S., & Emden, C. (1997). Focus on qualitative methods Qualitative metasynthesis: issues and technique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 365-372.
- Vertova, G. (2001). National technological specialisation and the highest technological opportunities historically. Technovation, 21(9), 605-612.
- Zimmer, L. (2006). Qualitative meta‐synthesis: a question of dialoguing with tex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3(3), 311-318.
참고문헌 더보기
- 이전논문없음 (현재 논문이 "한국정책연구 제25권 3호"의 처음 논문입니다.)
- 다음논문Q방법론에서 연구자 주관성 최소화를 위한 의미통합체(concourse)와 Q표본 구축 절차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ed Procedure for Constructing a Concourse and Q-Sample in Q Method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