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가치의 실천화에 관한 논의
Discussion on the practice of administrative value
저자
조성수(경기도의회)
Joe, Seong Soo
Joe, Seong Soo
- 창간연도
- 2002년 2월
- ISSN
- (Print)1598-7817 , (Online)2713-6744
- 등재사항
- KCI등재(2019.01 ~ 현재)
- 수록권호
- 제25권 3호
- 발행일
- 2025.09
- 수록논문
- 14 articles
- 유형
- 학술저널
- 주제
- 사회과학
- 발행기간
- 2002.02 ~ 2025.09
- 발행주기
- 연 4회(계간)
- 총 권호 수
- 77 volumes
- 총 논문 수
- 752 articles
키워드
초록
본 연구는 법제도의 물질적 실천성을 강조하며, 행정철학이 법제도의 영역으로 침투하여 행정가치와 공공가치의 ‘쓸모’를 확대하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을 위해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담론을 ‘이데올로기 작동 방식’으로 제시하였다.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 이론을 ‘전도 및 변용’하여 행정 영역에서 이데올로기의 작동을 매개하는 법제도의 실천성을 주목할 것을 강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행정가치와 공공가치를 행정의 법 원칙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와 간극을 지적하며, 행정철학이 행정학을 위한 학문이 아닌 행정을 위한 학문으로 다시 정립되어 실무적이고 실천적으로 학문의 영역을 넓혀 나가기를 기대하고 있다.This study emphasizes the material practicality of the legal system, and proposes that the administrative philosophy infiltrates the realm of the legal system to expand the usefulness of administrative and public values. For this proposal, Althusser's ideological discourse was presented as an ‘ideological operation method'. It was emphasized to pay attention to the practicality of the legal system that mediates the operation of ideology in the administrative field by 'conducting and transforming' Altusser's Ideological State Apparatus theory. Specifically, it compares administrative and public values with administrative legal principles, pointing out the differences and gaps, and expects that administrative philosophy will be re-established as a discipline for administration rather than for public administration, expanding the field of study practically and practically.
목차
Ⅰ. 서론Ⅱ. 이데올로기와 행정이념
Ⅲ. 이데올로기의 작동 방식
Ⅳ. 비판과 논의 : 행정가치의 실천화
Ⅴ. 결론
참고문헌 (48)
- 고재학.(2010). 공공행정에 대한 행정학적 정의. 「한국정책연구」10(3): 39-58.
- 김근세 외.(2013). 헌법적 가치와 행정: 헌법재판소의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47(4): 1-25.
- 김도형.(2019). 이데올로기-담론 투쟁으로서의 정치 : 알튀세르와 페쇠의 이데올로기론. 「문화과학」, 제79호: 435-465.
- 김대성.(2008). ‘언어적 전회를 통한 행정연구의 이론체계와 함의. 「한국정책연구」8(2): 1-19.
- 김명환.(2021). Moore의 공공가치 창출론에의 도전과 과제. 「한국정책과학학회보」25(1): 63-86.
- .(2022). 공공가치의 개념. 「공공가치 이론과 실제」: 35-51, 서울: 윤성사
- .(2023). 공공가치 창출론과 민주주의: Moore의 정치적 관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32(3): 67-96.
- 김영종.(2008). 「행정철학」. 서울: 형설출판사.
- 김유환.(2022). 「현대 행정법」, 서울: 박영사.
- 김태환.(2009). 상부구조/토대 모델의 재구성 : 이데올로기의 사회학을 위하여. 「문화과사회」, 제86호: 372-387.
- 김항규.(2009). 「행정철학」. 서울: 박영사.
- 김호섭.(2019). 「현대 행정의 가치와 윤리」. 서울: 대영문화사.
- 김흥회.(2023). 공공가치 연구의 지형 탐색. 「한국사회와행정연구」39(1): 1-38.
- 권기헌.(2018). 「행정학강의」. 서울: 박영사.
- 민경배.(2006). 법의 보편적 기본원리로서 합법성. 「공법연구」7(2): 243-264.
- 명재진.(2020). 헌법과 이데올로기. 「공법연구」31(4): 11-41.
- 맥도넬, 다이안.(2010). 「담론이란 무엇인가」, 한상훈 옮김, 서울: 한울.
- 박경효.(2017). 「재미있는 행정학」. 서울: 윌비스.
- 박상현.(2008). 알튀세르의 철학적 궤도 , 「알튀세르의 철학적 유산」: 11-38, 서울: 공감.
- 박욱성․김상철.(2011). 근대사상에 나타난 행정가치 분석:현대행정에의 시사점. 「한국정책연구」11(2): 151-182.
- 박정택.(2010). 한국 행정철학의 연구와 교육의 방향 모색. 「국정관리연구」, 5(2): 25-51.
- 박홍원.(2006). 칼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 개념: 문화연구와 비판적 미디어 연구에 대한 함의. 「한국방송학보」, 제20-2호: 157-196.
- 박형준 외.(2013). 관료의 행정가치의 재고찰:헌법적 가치의 재조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17(3): 163-187.
- 법제처.(2021). 「행정기본법 조문별 해설」, 법제처 행정법제 혁신추진단.
- 배세진.(2023). 현대 프랑스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루이 알튀세르 이후의 포스트 마르크스주의의 견지에서의 재서술 - 에티엔 발리바르 그리고 자크 비데의 이론화를 중심으로.「경제와사회」, 제140호: 149-223.
- 배세진.(2025). 「금붕어의 철학」. 서울: 출판공동체편않.
- 신일철.(1984). 이데올로기 개념의 문제. 「아세아연구」, 제71호: 455-476.
- 알튀세르, 루이.(2000). 「아미앵에서의 주장」, 김동수 옮김, 서울: 솔.
- .(2007). Sur la reproduction;「재생산에 대하여」. 김웅권 옮김, 서울: 동문선.
- .(2020). Initiation a la Philosophie pour les non-philosophes; 「비철학자들을 위한 철학 입문」, 안준법 옮김, 서울: 현실문화.
- 이문수.(2011). 현대 행정권력의 새로운 이해: Foucault 주장의 재검토. 「한국조직학회보」, 8(2): 35-65.
- 이종수․윤영진 외.(2007). 「새행정학」. 서울: 대영문화사.
- 이재유.(2007). 토대-상부구조론'의 해체와 재구성. 「시대와철학」, 18(2): 395-422.
- 은재호.(2008). 공공성 개념 연구 : ‘프랑스식 공공서비스’ 개념을 중심으로. 「거버넌스학회보」, 15(3): 213-239.
- 유민봉.(2000). 행정이념에서 본 한국행정의 회고와 전망. 「사회과학」47(4): 1-25.
- 윤종희.(2008). 마르크스를 위하여, 「알튀세르의 철학적 유산」: 39-66, 서울: 공감.
- 진태원.(2010). 과잉결정, 이데올로기, 마주침. 「자음과 모음」, 가을호 제9호: 1034-1069.
- .(2012). 푸코와 민주주의: 바깥의 정치, 신자유주의, 대항품행. 「철학논집」, 제29호: 153-188.
- .(2015). 정치적 주체화란 무엇인가? 푸코, 랑시에르, 발리바르. 「진보평론」, 봄호 제63호: 185-227.
- .(2018). 마르크스와 알튀세르 사이의 푸코. 「철학사상」, 제68호: 195-237.
- 전주상 외. (2018). 「행정윤리론」, 서울: 대영문화사.
- 존스, 스티브.(2022). 「안토니오 그람시 비범한 헤게모니」, 최영석 옮김, 서울: 앨피.
- 푸코, 미셸.(2008). 「감시와 처벌」, 오생근 옮김, 서울: 나남.
- 페레터, 루크.(2014). 「루이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심세광 옮김, 서울: 앨피.
- 하태수.(2002). 공익과 행정이념에 대한 시론(試論)적 재고 : 국가이론을 중심으로. 「행정논총」40(2): 85-109.
- 홍은영.(2004). 「푸코와 몸에 관한 전략」. 서울: 철학과현실사.
- 미디어제주. https://www.mediajeju.com/news/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참고문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