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게시판 최신게시물 15건
GIAPA
The Gyeong-I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경인행정학회에서 제공하는 논문 및 각종 자료입니다
학회자료 Library
저널명
한국정책연구(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창간연도
2002년 2월
ISSN
(Print)1598-7817 , (Online)2713-6744
등재사항
KCI등재(2019.01 ~ 현재)
수록권호
제25권 3호
발행일
2025.09
수록논문
14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사회과학
발행기간
2002.02 ~ 2025.09
발행주기
연 4회(계간)
총 권호 수
77 volumes
총 논문 수
752 articles

초록

본 연구는 Q방법론의 핵심 절차인 의미통합체(concourse)와 Q표본(Q-set) 구축 과정에 대한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Q방법론은 인간의 주관성 탐색에 유용한 방법론이지만, 의미통합체와 Q표본 구축 과정이 연구자 개인의 판단에 의존하거나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특히 국내 연구는 이러한 방법론적 논의가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의미통합체와 Q표본 구축 과정을 체계적 수집, 구조화 및 분류, 체계적 추출, 사전 검토 및 검증의 4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구체적 절차와 기준을 명시하였다. 이로써 연구의 재현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에서 모호했던 의미통합체 및 Q표본 선정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여 Q방법론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제고했다. 둘째,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을 최소화하고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절차를 강조함으로써, 후속 연구자들이 보다 엄밀한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다만,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에 초점을 두었으며, 제안된 절차의 실증적 효용성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례 연구를 통해 본 절차의 효과성과 한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Q방법론의 학술적 정합성과 실용적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esents standardized guidelines for the core procedures of Q methodology, namely the construction of the concourse and the Q-set. While Q methodology is a valuable approach for exploring human subjectivity, the processes of concourse building and Q-set construction have long been criticized for relying heavily on researchers’ personal judgment and lacking specificity. In particular, such methodological discussions have been insufficient in domestic research.
Accordingly, this study, drawing upon a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divides the processes of concourse building and Q-set construction into four stages—systematic collection, structuring and classification, systematic extraction, and preliminary review and verification—and specifies detailed procedures and criteria for each stage. Through this, the study seeks to secure reproducibility and objectivity in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clarifies the previously ambiguous criteria for concourse and Q-set selection, thereby enhanc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 methodology research. Second, by minimizing researchers’ subjective judgment and emphasizing objective and scientific procedures, it establishes a foundation upon which subsequent researchers can apply more rigorous methodologies.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focused on theoretical examination and did not empirically test the practical utility of the proposed procedures. Future research should empirically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these procedures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both the academic coherence and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Q methodolog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의미통합체 및 Q표본 구축의 표준화 방안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53)

  1. 김경석, & 이제영. (2018). 조직시민행동의 개념적 영역 탐구: Q 방법론의 적용.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8), 94-104.
  2. 김순은. (2010). Q 방법론의 이론과 철학.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4), 1-25.
  3. 김정훈, & 이동규. (2022). 경찰과 소방조직의 통합적 사고대응을 위한 결정적 사고관리에 관한 주관성 연구: 척도 창조 (Scale Creation) 를 적용한 Q 방법론과 질문지법의 결합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6(3), 245-282.
  4. 김정훈, & 이동규. (2023). 소방관과 경찰관의 ‘사용자 주관성’이 결정적 사고 관리 플랫폼에서 중요한가?-연구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을 강화하기 위한 Q 방법론과 질문지법 결합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32(3), 207-244.
  5. 김흥규. (2007). P 표본의 선정과 Q 소팅. 주관성 연구, (15), 5-19.
  6. 백평구. (2015). Q 모집단으로부터 Q 표본 구성 과정에 대한 분석: 학술지 주관성 연구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1996∼ 2014). 주관성 연구, 30, 109-130.
  7. 선소원. (2020). 시민참여에 대한 인식 연구: 시민참여 주체와 성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4(3), 69-106.
  8. 오민지. (2018). 저출산 대응정책에 대한 인식 분석-Q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7(4), 1-34.
  9. 은종환. (2021). 공직자의 책임 모호성과 복잡성에 관한 주관적 인식 탐구: 병무청 사회복무 연수센터 공직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5(2), 183-215.
  10. 은종환, 이재완, 정광호, & 오영민. (2014). 서울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정책 인식유형 분석: Q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4), 133-160.
  11. 이찬주. (2021). 우리나라 저출산 대응 정책 실효성에 대한 여성의 인식 차이-Q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30(3), 77-115.
  12. 조경훈. (2017). 공공갈등 이해관계자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연구: 정책의 수용성에 대한 Q 방법론의 활용. 한국공공관리학보, 31(1), 151-174.
  13. 한승주. (2014). 공직 생활의 소외 유형: 지방자치단체 중하위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행정학보, 48(4), 23-49.
  14. 한창연, & 정건영. (2021).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Q 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정책학회보, 30(2), 259-291.
  15. 황상민, & 최은혜. (2002). Q 방법론 및 이론: Q 방법론의 심리학적 적용과 해석의 문제: 객관성과 주관성의 이중주 (二重奏). 주관성 연구, 7, 4-26.
  16. Akhtar-Danesh, N. (2017). An overview of the statistical techniques in Q methodology: Is there a better way of doing Q analysis?. Operant Subjectivity, 38(3/4).
  17. Baker, R., McHugh, N., & Mason, H. (2017). Constructing statement sets for use in Q methodology studies. Qualitative Methods for Health Economics, 163–174.
  18. Brown, S. R. (1980).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 Brown, S. R. (1993). A primer on Q methodology. Operant Subjectivity, 16(3/4), 91–138.
  20. Brown, S. R. (1996). Q method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Health Research, 6(4), 561–567.
  21. Brown, S. R. (2002). Subjectivity in the human sciences. Integrative Psychological & Behavioral Science, 36(2), 85–99.
  22. Brown, S. R., Baltrinic, E., & Jencius, M. (2019). From concourse to Q sample to testing theory. Operant Subjectivity, 41.
  23. Clarke, S., & Holt, J. (2014). Reflecting on leadership styles of women and men. Leadership in Health Services, 27(4), 272–284.
  24. Cross, R. M. (2005). Exploring attitudes: the case for Q methodology. Health Education Research, 20(2), 206–213.
  25. Darion, L., Derksen, L., & Rami, J. (2017). The use of Q methodology in health services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47(2), 288–308.
  26. Durning, D. (1999).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to postpositivist policy analysis: A role for Q‐methodology.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18(3), 389–410.
  27. Fisher, R. A. (1935). The design of experiments. Oliver & Boyd.
  28. Grimshaw, J. M., Thomas, R. E., MacLennan, G., Fraser, C., & Ramsay, C. R. (2017).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guideline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8(6), 1–72.
  29. Harman, H. H. (1976). Modern factor analysis (3rd e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Herron-Marx, S., Hardy, S., & Wright, K. (2007). Exploring the impact of Q methodology in psychiatric research and practice. Nurse Researcher, 14(4), 7–19.
  31. James, M., & Warner, S. (2005). Coping with their lives–women, learning disabilities, self‐harm and the secure unit: a Q‐methodological study. British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3(3), 120–127.
  32. Jedeloo, S., van Staa, A., Latour, J. M., & van Exel, J. (2010). Preferences for health care and self-management among Dutch adolescents with chronic conditions.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69(4), 425–433.
  33. Kampen, J. K., & Tamás, P. (2014). Overly ambitious: contributions and current status of Q methodology. Quality & Quantity, 48(6), 3109–3126.
  34. Kenward, L. (2019). A literature review to guide novice researchers using Q methodology in the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concourse management. Nurse Researcher, 27(1).
  35. Kirschbaum, M., Barnett, T., & Cross, M. (2019). Q sample construction: a novel approach incorporating a Delphi technique to explore opinions about codeine dependence.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19(1), 101.
  36. Kuipers, Y. (2016). Exploring midwives' beliefs on woman-centred care using Q methodology. Midwifery, 41, 47–55.
  37. Lee, B. (2019). Tools for collecting a concourse and selecting a Q sample. Operant Subjectivity, 41.
  38. Logan, R. A. (2007). Health literacy: New opportunit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formation Services & Use, 27(3-4), 187–193.
  39. Malia, K., & Bennett, C. (2011). Using Q-methodology to explore clinical nurse specialists’ perceptions of their role within an acute hospital trus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9(6), 728–738.
  40. McKeown, B., & Thomas, D. B. (2013). Q methodology (Vol. 66). Sage Publications.
  41. Paige, J. B., & Morin, K. H. (2016). Q-sample construction: A critical step for a Q-methodological study.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8(1), 96–110.
  42. Papworth, M., & Walker, L. (2008). The needs of primary care mental health service users: a Q-sort study. Mental Health in Family Medicine, 5(4), 203.
  43. Ramlo, S. E. (2016). Mixed method lessons learned from 80 years of Q methodology research. The Journal of Mixed Methods Research, 10(1), 28–45.
  44. Ramlo, S., Starvaggi, D., Mitchell, R., & Roketenetz, L. (2019). Developing concourse and selecting a Q sample: Preparation for a Q study about urban, American, middle-school science students’ views of nature. Operant Subjectivity, 41.
  45. Saebjornsen, S. E. N., Ellingsen, I. T., & Good, J. M. (2016). Combining a naturalistic and theoretical Q sample approach: An empirical research illustration. Operant Subjectivity, 38(2).
  46. Stellefson, M., Paige, S. R., & Alber, J. M. (2012). Exploring health literacy profiles of asthma patients using Q methodolog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7(3), 420–427.
  47. Stephenson, W. (1985). Protoconcursus: The concourse theory of communication. Operant Subjectivity, 9(2), 37–58.
  48. Sylvester, J. (2019). Stephenson: Defining Concourses and Selecting Statements Using Fisher’s Balanced Block Design and Newton’s Fifth Rule. Operant Subjectivity, 41, 48–64.
  49. van Exel, J., de Graaf, G., & Brouwer, W. (2007). Care for a break? An investigation of informal caregivers’ attitudes toward respite care using Q methodology. Health Policy, 83(2–3), 332–342.
  50. Vincent, S., & Focht, W. (2009). US higher education environmental program manag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design and core competenc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10(2), 164–183.
  51. Watts, S., & Stenner, P. (2012). Doing Q methodological research: Theory, method & interpretation. Sage.
  52. Webler, T., Danielson, S., & Tuler, S. (2009). Using Q method to reveal social perspectives in environmental research. Social and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54(1), 45.
  53. Wilson, P., & Cooper, C. (2008). Finding the magic number: Investigating methods used to extract the number of factors in a factor analysis. Psychologist, 21(10), 866–867.

참고문헌 더보기
한국정책연구 (752 articles / 77 volumes) 2025년도(논문 수 36) 제25권 3호(논문 수 14) KCI등재 ISSN 1598-7817 (Print) , 2713-6744 (Online)

학회지 논문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